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어플리케이션 노트
6가 크로뮴(Hexavalent Chromium) 혹은 6가 크롬은 생체 독성이 높은 위험 물질로 구분됩니다.
3가 크로뮴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체 독성이 높고 장기 노출에 대한 위험성이 있는 물질로써 각별한 유의가 필요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식수 및 자연수 내의 크로뮴 함량의 관리 감독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3가 및 6가 크로뮴을 포함하는 총크롬량에서부터 6가 크로뮴 함량을 별개로 제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총 크로뮴 함량 분석은 ICP에 기반한 ICP-OES 및 ICP-MS 를 통해 분석할 수 있지만, 3가 크로뮴과 6가 크로뮴의 분석은 ICP를 통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 기인해 6가 크로뮴 혹은 3가 크로뮴의 분석은 고전적인 음이온 분리 크로마토그래피와 서프레서를 이용한 억제 전도도 검출을 통해 분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다른 무기물 음이온에 의한 분석 간섭과 자체적인 감도 한계로 ng/L 단위의 정밀한 분석이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EPA 218.7 분석법은 컬럼 후 유도체화 방법(Post-Column Derivatization)을 통해 크로뮴 이온의 유도체화물을 53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 검출 분석법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보다 뛰어난 선택성과 검출 한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 어플리케이션 노트는 Sykam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과 Sykam 음이온 분리 컬럼 A05을 통해 미 환경 보호청 EPA Method 218.7에 기반한 컬럼 후 유도체화법과 흡광도 검출을 통한 식수 내 6가 크로뮴 분석법을 시연합니다.
※ 본 문서의 저작권은 (주)아주과학에 있으며 무단 배포 및 수정을 엄격히 금합니다.